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3)
[AWS] Application Migration Service(MGN) 으로 다른 리전에 마이그레이션 해보기 실습 목표 AWS Application Migration Service(MGN) 서비스를 이용하여 AWS 서울 리전 EC2 인스턴스 -> 오레곤 리전으로 Migration 실습 용어 Source Server : 기존 서버 (서울 리전의 인스턴스, 온프레미스 서버라고 생각) Target Server : AWS 로 마이그레이션 될 서버 (오레곤 리전의 인스턴스) Replication Server : 서울 리전의 인스턴스(온프레미스) 서버를 복제하는 서버 Conversion Server : Test / Cutover 시 타겟 서버로 convert 할때 필요한 서버 Cutover : 전환, 이전, 이관 이라는 뜻으로 실제 마이그레이션 적용 단계 실습 - AWS IAM 생성 온프레미스 -> AWS 로 마이그레이션..
[AWS] 로컬에서 Session Manager (SSM) RDP 접속하기 실습 목표 인터넷도, 인바운드 정책도 뭣도 없는 Private한 환경에 있는 Windows 서버로 3389(RDP) Port Open 없이 로컬에서 RDP로 접속한다. 준비 - VPC 생성 / Private Subnet 생성 / Route - 서브넷 연결 -> 통신이 되지 않는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한다. (후에 이 환경에 인스턴스를 생성할 것이다.) VPC Endpoint SSM을 사용하여 인스턴스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Internet Gateway가 있거나, 또는 AWS PrivateLink 인 VPC Endpoint가 있어야 한다. 엔드포인트는 모든 네트워크 트래픽을 Amazon 네트워크로 제한하여 AWS 리소스 간의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. 이 경우 인터넷 게이트웨이나 NAT 디..
[AWS] Transit Gateway를 사용하여 다른 리전 EC2에 내부 IP로 SSH 접속하기 Transit Gateway (TGW) 를 이용해서 서울 리전의 인스턴스 -> 오하이오 리전 인스턴스 내부 IP로 SSH로 접속하는 실습을 해보았다. 0. 준비 실습을 위해 설정한 리전별 VPC와 Subnet의 대역은 다음과 같이 임의로 설정해봤다. (실제 실습과 차이가 있다.) [Seoul Region] - VPC : 10.0.0.0/16 - Subnet : 10.0.10.0/24 [Ohio Region] - VPC : 192.168.0.0/16 - Subnet : 192.168.10.0/24 IP 대역이 겹치지 않도록, 각 리전에 VPC 환경 구성 및 EC2를 생성한다. 또한, Session Manager(SSM) 연결이 가능하도록 미리 설정해두면 AWS 콘솔 내에서 바로 인스턴스에 접속할 수 있다...